식품산업의 로봇 자동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가능성과 그 기회 식품산업의 로봇 자동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가능성과 그 기회
김재호 2010-02-11 00:00:00

 

WITH FULL AUTOMATION TO THE COUNTER AND THE SHELF?

KUKA 로보틱스의 핵심기술 매니저 Peter Fornoff씨 통해 식품산업의 로봇 자동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가능성과 그 기회를 들어보도록 한다.


◀Key Technology Managers Peter Fornoff


현재 식품 산업계의 가장 뜨거운 감자와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주제는 무엇입니까.
▶ 의심할 여지도 없이 현재 가장 논의가 많이 되고 있는 기술적 화제라면 위생 기준을 비롯해 좀 더 빠른 제품 생산 싸이클과 그에 따른 생산성 향상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숙련된 인력의 부족 역시 이슈라 할 수 있지요.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재 많은 식품 회사들이 자동화라는 옵션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식품 산업의 자동화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요.
▶ 식품 분야의 자동화에 대한 요구는 근래 들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표준 어플리케이션에 있어 로봇은 패키징과 팔레타이징 분야를 주로 차지하고 있습니다. KR 180-2 PA와 KR 40 PA 같은 KUKA 팔레타이징 로봇들은 이러한 작업 외 의 다른 작업에도 적합합니다.
점점 많은 로봇들이 픽킹 작업에 쓰이고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각 식품 분야에서의 자동화 수준은 매우 상이합니다. 예를 들어 음료산업에서의 자동화 수준은 98%에 가깝습니다. 현재 KUKA 로봇은 상자나 병의 팔레타이징과 디팔레타이징 용으로 쓰이는 것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채우는 데에도 쓰입니다. 스테인리스와 철로 된 KUKA의 KR 15 SL 모델 같은 경우에는 강력한 세척에도 표면이 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특히나 적합하다고 할 수 있지요. 또한 대규모 제과공정에서의 자동화 수준 역시 약 80%에 가깝습니다. 반면, 육류 가공 산업의 경우는 20% 정도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분야의 잠재력은 엄청나다고 할 수 있지요. 이 분야에 있어, 3차원 측정이 가능한 KUKA 로봇의 작업 범위에는 돼지고기 절단, 고기 덩어리의 포장과 팔레타이징까지도 포함됩니다.

 

그렇다면 자동화가 크게 발전할 수 있는 분야는 어디를 꼽을 수 있습니까.
▶ 한마디로 말하자면 ‘모든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매우 섬세한 핸들링이 필요한 상추 같은 제품도 이미 자동화가 도입되어 있습니다.
식품산업은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작업 대부분은 사람에게 있어 매우 고된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음료수 병이나 운반상자에서부터 빵 컨테이너에 이르는 모든 것들은 무겁고 부피가 큽니다. 팔레트 위에 이러한 것들을 쌓는 일은 엄청난 육체적 노동을 수반하지요.
여기에 식품의 신선도를 위해 낮은 온도의 방에서 작업하는 일도 또 다른 장애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정육산업이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작업환경은 힘들고, 숙련자는 이러한 직종에 오래 머물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시각으로 로봇업계에 유리한 주장을 펼친다면.
▶ 우선 로봇은 공정에서 매우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셀이나 새로운 셀 컨셉에 쉽게 통합되어질 수 있습니다. 둘째로, 로봇은 고품질의 생산이 가능하고, 매우 높은 수준의 작업 정확성을 갖습니다. 앞서 언급한 KR 15SL의 경우, 특수한 도장이나 표면 마무리가 식품 산업에 맞게 위생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제조용 로봇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얻는 특별한 이익이 있다면.

 ▶ 로봇은 집중력을 잃지 않으면서도 쉬지 않고 일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소비자들은 높은 품질과 생산성이라는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로봇의 작업 유연성으로 새로운 또는 정형화된 셀 컨셉에도 빠른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도 소비자가 얻는 혜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KUKA社는 이해하기 쉬운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폭넓은 서비스 범위 등 구매계획에서 A/S에 이르기까지 차별화된 장점들을 갖고 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 예상되는 식품산업계의 트렌드는 무엇인가.
▶ 식품 부분에서의 주요 화제라면 위생 기준의 향상을 들 수 있지요. 로봇에 있어서는 손쉬운 세척이 가능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또 다른 트렌드는 크게 향상된 생산성과 생산 공정시간의 단축을 들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로봇은 센서 시스템과 간단한 제어기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미 가시화되고 있기도 한 또 다른 트렌드는 인간과 기계간의 협업 그리고 서비스 로봇의 미래지향적 논제 등을 들 수 있습니다.      KUKA로보틱스코리아 www.kukakorea.com

 

*알림  Foundry / Plastic / Metal / Food 등 각 산업별 KUKA Robotics의 어플리케이션과 새 소식을 전하는 소식지인 ‘ROBOT IDEAS’는 전 세계 고객들에게 전해져 KUKA만의 기술력을 전하고 있다.               

                                                                            신청 (☎ 031-501-1451~2 / hayu@kukakorea.com)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