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DCS 시장에서 가격문제로 대응이 어려웠던 수요처 중심으로 시장 꾸준히 확대 기존 DCS 시장에서 가격문제로 대응이 어려웠던 수요처 중심으로 시장 꾸준히 확대
한은주 2011-05-19 00:00:00

Special Report 프로세스 업체들의 SCADA 사업전략

 

기존 DCS 시장에서 가격문제로 대응이 어려웠던 수

 

요처 중심으로 시장 꾸준히 확대

 

조선이나 자동차 등 열처리 필요로 하는 컨트롤 수요도 핵심 마켓 가운데 하나


▶한국하니웰

대표적인 메이저급 프로세스 업체에 해당하는 한국하니웰은 대부분의 메이저 프로세스 업체들과는 달리, 오래 전부터 자사의 HC900 컨트롤러와 Experion HS HMI/SCADA 소프트웨어로 SCADA 분야에서 상당한 실적을 확보해오고 있는 것이 특징.


이 HC900은 기존의 PLC와 DCS의 기능을 일체화시킨 모듈러 타입의 제품으로, 여러 개의 싱글루프 컨트롤러를 사용할 때에 비해 엔지니어링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PLC의 유연한 로직 제어 기능과 DCS의 견고한 아날로그 제어에 모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 프로세스 어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라는 것이 한국하니웰 측의 설명이다.
한국하니웰은 SCADA 비즈니스에 이 HC900 외에도 PLC를 활용, 유저의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 소프트웨어로는 Experion HS를 공급하고 있는데, 이 Experion HS는 기본적으로 웹 베이스 환경에서 운영이 된다는 것이 한국하니웰 측의 설명.


프로세스 그룹 및 포인트 상세, 트렌드, 알람 및 세트포인트 프로그래머 화면 등이 Pre-built된 표준화면으로 제공되며, 직관적이고 유연한 HMI는 프로세스 그래픽, 디스플레이 네비게이션 및 알람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대부분의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위주의 풀다운 메뉴와 툴바는 프로세스 데이터에 대한 쉽고 직관적인 운영을 도와주며, On-board Historian은 신뢰성 있고 정확한 프로세스 데이터에 즉각적으로 접근하도록 히스토리와 이벤트를 수집한다.

 


한편, 다양한 SCADA 수요처 가운데 한국하니웰이 두드러진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는 분야는 화학이나 발전 등의 프로세스 분야 외에도 반도체와 LCD 등의 분야를 꼽을 수 있다. 한국하니웰의 프로세스 제어기기 사업부가 반도체 및 LCD 분야로부터 확보하고 있는 매출비중은 약 30%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들어 조선이나 자동차 등 열처리를 필요로 하는 컨트롤 수요가 이 회사의 핵심 마켓으로 입지를 굳혀가고 있으며, 이외에도 모 풍력발전 업체의 윈드 터빈의 축을 열처리 가공하는 로의 컨트롤을 다수 수주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등 새로운 분야로부터의 수주에도 활기를 띄고 있는 것이 한국하니웰 SCADA 사업의 최근 행보.  


반도체 업체인 L사, 케미컬 업체인 L사 및 D사를 비롯해서 생명과학 업체, 태안ㆍ당진 화력발전소 등 다수의 레퍼런스를 확보해오고 있는 한국하니웰은 HC900이 갖는 기능 및 가격적인 장점을 무기로, 꾸준하게 매출을 확대에 나가고 있는데, 올 한해 케미컬이나 오일 & 가스, 발전 등 기존 DCS 시장에서 가격문제로 대응이 어려웠던 수요처를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