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Report 프로세스 업체들의 SCADA 사업전략
“필드 인스트루먼트의 와이어리스화 뿐만이 아닌, 상위와 연결하
는 네트워크 자체의 와이어리스화도 진행되고 있어”
올 SCADA 시장, 지난해에 비해 20∼30% 확대될 것
●● SCADA 분야의 수요확대를 위해 HC900과 같은 별도의 컨트롤러가 활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 역시 과거에는 DCS로 SCADA 시장의 수요를 확보했었다. 그러나 PLC의 기능이 향상되고 가격이 구매 포인트가 되면서, PLC에 비해 가격이 높은 DCS로는 석유화학이나 화학분야와 같은, 비교적 덜 크리티컬한 프로세스 수요를 수주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됐다.
과거에는 PLC가 루프제어를 커버하지 못했지만, PLC의 기능이 향상 되면서 미들 및 스몰 사이즈의 프로세스 시장에 활발하게 진입해 들어오고 있는 것이 그 이유다.
●● 그동안 SCADA 분야에 큰 관심을 갖지 않았던 프로세스 업체들이 최근 들어 SCADA 비즈니스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같은 맥락의 이유다. EPC 시장에서 가장 민감한 것은 가격이다. 그동안 DCS 업체들은 오너십 확보를 위해 SCADA 비즈니스에도 DCS로 대응해왔지만, 비교적 덜 크리티컬한 어플리케이션은 DCS가 아닌 하이브리드 PLC로도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DCS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하이브리드 제품을 가지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원격제어 감시 시장에 대한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 한국하니웰은 SCADA 비즈니스를 담당하는 별도의 조직이 있나.
우리는 다른 프로세스 업체들과는 달리 DCS와 SCADA의 비즈니스 조직이 분리가 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DCS로 갈 것인가, SCADA로 갈 것인가가 한 조직 내에서 결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조직 자체가 분리되어 있어서 원격제어 감시에 대한 비즈니스를 DCS가 아닌 전문 솔루션을 통해 전개해 나가고 있다.
●● 하니웰이 공급하고 있는 컨트롤러 「HC900」이 PLC와 차별화되는 특징은 무엇인가.
HC900은 하이브리드 타입이지만 DCS 베이스의 솔루션이다. 따라서 DCS의 펑션블록이나 아날로그 입력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존 PLC와는 기능이 차별화된다.
HC900 컨트롤 시스템은 소형 및 중형급 프로세스와 장비에 대해 비용효과가 높은 자동화 플랫폼이다. 루프제어와 로직제어를 모듈러 타입으로 제공하는 이 HC900은 개별 동작의 아날로그 측정이 요구되는 단위 프로세스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일반 PLC에 비해 프로세스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유리하고, DCS에 비해 가격적인 부담이 적은 것이 이 HC900의 장점이다.
●● HC900이 PLC가 아닌, 타 경쟁업체의 SCADA 컨트롤러와 차별화되는 점이라면.
타 경쟁업체의 컨트롤러의 모듈이 전압이나 서모커플, RTD 신호를 분리해서 받도록 설계되어있는데 비해, HC900은 이들 신호를 모두 통합해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큰 스케일일 경우에는 0.1%의 정밀도로 신호를 받을 수 있다.
●● HC900은 이중화가 지원이 되나.
HC900은 이중화가 지원되는 모델과 싱글 타입의 CPU 모두 지원이 되며, 하드웨어 I/O 포인트를 2,000점까지 그리고 CPU의 용량에 따라서 세 가지 모델로 구분이 된다.
이중화 컨트롤러는 소각로나 대형 보일러 등 기능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스왑(Swap)이 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주요 시장이다.
●● 지원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
PLC는 CPU와 통신이 별도로 분리되어 제작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우리 하니웰의 모듈러는 CPU 안에 RS482와 RS235, 이더넷이 모두 탑재되어 있다.
●● 지난 번 인터뷰에서 조선이나 자동차 등의 열처리 공정에서 HC900의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열처리 공정에 적용되는 컨트롤 수요는 기존 PLC 업체들의 대표적인 시장 가운데 하나다. 어떤 점이 PLC 업체들에 비해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나.
일반 PLC 업체들이 공급하고 있는 PLC들은 기본적으로 프로세스 제어가 되지 않고, 프로세스 제어가 필요할 경우 옵션으로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우리 하니웰의 HC900은 프로세스 제어 기능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어서 프로세스 제어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PLC에 비해 훨씬 뛰어나다. 또 CPU에 프로세스 제어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 기능이 많이 필요할수록 가격이 일반 PLC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할 수밖에 없다.
●● 빌딩의 에너지 절감과 관련된 SCADA 수요 역시 프로세스 업체들이 관심을 갖는 시장 가운데 하나다. 한국하니웰의 경우에는 어떠한가.
빌딩의 공조시스템을 SCADA로 처리하는 개념으로, 우리 역시 이미 사업을 전개해오고 있고, 레퍼런스도 이미 다수 확보가 되어 있다.
플랜트는 공조제어라 하더라도 층이 넓은 구역을 몇 개의 존으로 나눠서, 일반 Eternet TCP/IP 통신으로 묶어서 동시에 제어를 하는 개념이다.
특히, 빌딩 제어 중에서도 반도체나 LCD 공장의 제어기기는 거의 DCS급이다. 이들 공정도 과거에는 싱글루프로 제어가 됐었지만, 생산라인의 공기 온도가 0.5도 이상만 차이가 나도 제품자체에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현재는 일반 DDC나 PLC로는 대응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모 업체는 싱글루프 컨트롤러와 일반 PLC를 사용해오다 우리 하니웰의 HC900으로 거의 전량 교체를 했다.
●● SCADA와 관련된 향후 기술 트렌트를 어떻게 예상하나.
프로세스 업계의 현재의 화두는 와이어리스(Wireless)다. 전용 포터블기기가 PC와 동일한 동작을 시키면서 이것이 와이어리스와 접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은 이더넷 통신을 이용하지만, 앞으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신이 보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하니웰의 제어기기는 기본적으로 와이어리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현재 필드 인스트루먼트뿐만 아니라 컨트롤러와 컨트롤러 사이에도 와이어리스 기술이 접목이 되고 있다. 즉 필드 인스트루먼트의 와이어리스화가 아닌, 상위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자체의 와이어리스화도 진행이 되고 있다.
또 OS의 변화로 기존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가상 OS를 지원하고 있는 것도 최근의 추세 가운데 하나다. 우리 하니웰 역시, 고객이 새롭게 출시되는 모든 하드웨어 플랫폼과 새로운 OS 환경에서도 기존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현재 가상 OS를 지원하고 있다.
●● 프로세스 업체간 SCADA 경쟁 판도는 어떻게 예상하나.
앞으로는 SI 업체 확보가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SCADA는 프로세스 업체에서 직접 수주를 해서 설치하는 경우 외에도, SI 업체에서 각 프로세스 업체의 솔루션을 사다가 시스템을 납품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능력 있는 SI 업체를 확보하는 능력이 프로세스 업체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하나의 포인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지금은 엔드 유저들의 의식이 상당히 높아져서, 엔드유저 스스로 솔루션을 선택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SCADA 비즈니스에서 약 10년의 경험을 통해 축적된 레퍼런스가 우리 하니웰의 위치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 한국하니웰이 SI 업체를 통해 확보하는 매출은 어느 정도인가.
한국하니웰 역시 SI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일을 하고 있지만, SI 업체를 통해 확보하는 매출비중은 20% 정도에 불과하다.
고객들이 과거에는 한국하니웰을 DCS 업체로 인식했었기 때문에 SCADA 발주대상에서 우리 한국하니웰이 제외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10년 가까이 국내에서 SCADA 사업을 전개해 오면서 축적한 레퍼런스로 인해 우리 한국하니웰이 SCADA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 올 SCADA 시장 전망은 어떻게 하나.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다. 올해까지만 해도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업체 등으로부터 예정되어 있는 투자계획이 있고, DCS의 마이그레이션 수요가 예상이 되기 때문에 SCADA만 놓고 보면 지난해에 비해 20~30%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SDADA 업계의 향후 이슈로는 무엇을 예상하나.
역시 가격이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SI 업체들의 경험이 SCADA의 Cost와 연결이 되면서 이것이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