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폐기물산업 동향과 관련 프로젝트 말레이시아 폐기물산업 동향과 관련 프로젝트
김재호 2012-02-25 00:00:00

말레이시아 폐기물산업 동향과 관련 프로젝트

프랑스대외무역진흥공사

 

● 현황
도시인구의 빠른 증가, 인프라시설들의 부적합성, 신규 폐기장 건설을 위한 토지 부족으로 인해, 지자체 폐기물 관리는 말레이시아의 환경 문제 가운데 가장 심각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음.
2007년부터, 고형폐기물 및 공공정화관리법(Solid Waste and Public Cleansing Management Act)에 기반한 개혁으로 지자체 폐기물 처리 시장이 대폭 재정비되었음(보르네오섬 제외). 상기 법에 따라, 고형폐기물의 관리는 주택 및 지역자치단체부(KPKT) 산하 연방기관인 국가고형폐기물관리부(National Solid Waste Management Department)로 위임되어, 국가고형폐기물관리부는 향후 20년간을 사업기간으로 하여 사업허가권 발급을 담당하고 있음. 2020년까지, 말레이시아는 연간 3만 톤에 달하는 지자체 폐기물을 처리해야 할 것으로 보임. 현재, 폐기물의 재활용률은 6% 수준이며 2020년까지 이를 22%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임. (팜오일 생산 또는 산업폐기물에 의한) 다른 종류의 폐기물 문제들 역시 말레이시아 정부의 또 다른 골치 거리임. 경제 변환 프로그램(Economic Transformation Program, ETP- 고소득 국가로 진입하기 위해 말레이시아는 향후 10년간 매년 GDP 6% 성장을 목표로 함) 또는 제 10차 말레이시아 계획(10th Malaysia Plan)의 일환으로 발표된 조처들을 통해서도 이를 파악할 수 있음.
 
● 각 유형 별 폐기물 현황
1. 도시 및 산업폐기물
 경제 변환 프로그램(ETP)의 CHAPTER 5는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