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nk Gauging System,양대 메이저업체의 시장전략 Special Report
정대상 2013-03-20 09:27:26

탱크 게이징 양대 메이저 업체의 시장전략


탱크 게이징만을 위해 조직된 9명의 별도 부서 운영, 본사로부터의 서비스 지원 없이 모두 자체적으로 처리
Raptor,  2-in-1 기능으로 과 충진 방지를 위한  SIL3 안전기능 제공

3월SR-에머인물2.jpg

-에머슨 탱크 게이징 시스템(Tank Gauging System)의 역사에 대해 간단한 설명을 부탁한다.
▲에머슨의 탱크 게이징 시스템은 1976년 세계 최초로 레이더(Radar)를 이용한 레벨 계측 시스템을 개발한 스웨덴 SAAB사에서 출발했다.
SAAB(Swedish Aeroplane AB.)는 항공기 및 엔진, 자동차를 제조하는 스웨덴의 방산업체로서, 당시 조선 강국이었던 스웨덴의 선주들이 유조선에 쓰이던 기계식(Floating과 Servo Type) 게이징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브 사에 새로운 레벨 게이지를 개발해줄 것을 요청했고, 이에 의해 1976년 사브가 세계 최초로 비 접촉(Non Contact)ㆍ 비 유동(No Moving Part) 식인 레이더(Rader) 계기를 개발하게 됐으며, 이 레이더식 탱크 게이징 시스템이 출시되면서, 사브는 빠른 기간 내에 조선 분야의 탱크 게이징 시스템 분야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사브의 레이더 방식의 탱크 게이징은 이후 조선분야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80년대 중반부터 육상 탱크 분야에도 적용되기 시작해, 육상 탱크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업체로서 성공적인 사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에서 이 사브 사의 탱크 게이징을 담당하던 일렉트릭 비즈니스 유닛을 지난 2001년에 인수했고, 이어서 선박에 특화된 밸브를 제작하는 Damcos를 인수하면서, 한국시장에서는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코리아 마린 솔루션즈(Emerson Process Management Korea Marine Solutions)라는 법인이 탄생을 했다.
따라서 에머슨은 세계적으로는 1976년부터 레이더식 계기로 탱크 게이징 비즈니스를 시작했으며, 우리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에서는, 1990년대부터 국내시장에서 선박을 제외한 육상 탱크 게이징 비즈니스를 전개해오고 있다.

3월SR-에제Tank Gaguing.jpg

-탱크 게이징이란 무엇인가.
▲탱크 게이징 시스템이란, 탱크 내 화물의 레벨 및 온도, 밀도 등을 측정해서 화물의 용량을 계산하는 것으로, 탱크 게이징의 가장 큰 목적은 자산 또는 재고(Inventory) 관리다.
일반 트랜스퍼 레벨은 주로 Process Control을 위해 밸브나 Motor의 작동과 연계 되거나, Vessel의 레벨을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정도가 높지 않아도 되지만, 탱크 게이징은 Control의 의미보다는 원료(Feed) 또는 생산품(Product)의 재고 관리 및 이송/판매(Custody Transfer)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고정도가 요구된다.
에머슨의 탱크 게이징은 0.5mm 이하의 정도를 유지하며, 세계 최초로 SIL2/SIL3 인증 및 TUV Overfill Protection 인증을 받았다. 아울러 최근 새롭게 규정된 API 2350 과 충진 방지(Overfill Prevention) 인증도 획득했다.

 

-탱크 게이징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탱크 게이징은 서보 발란스식과 레이더식, 플로트(Float)식 이 세 가지를 주로 사용하며, 서보 발란스식과 플로트식은 기계식에 해당하는데, 현재는 서보 발란식의 수요가 레이더식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다.   
우리 에머슨과 하니웰, 엔드레스하우저가 메이저급 탱크 게이징 업체에 해당하는데, 에머슨의 경우 레이더식 탱크 게이징 비즈니스를 전문으로 하고 있고, 하니웰은 서보식과 레이더식, 엔드레스 하우저는 세 가지 방식의 비즈니스를 병행하고 있다.
레이더식 탱크 게이징 시스템이 시장에 소개가 되면서, 에머슨이 전 세계 탱크 게이징 시장의 리더로 자리를 잡았다. 

 

-레이더식 탱크 게이징 시스템이 나오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레이더식 탱크 게이징은 앞서 설명한대로 기계식 레벨 게이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출시가 됐다.
기계식 게이지는 액체와 접촉을 하기 때문에, 기계식 탱크 내 액체와 계속적인 접촉으로 인해 잦은 고장과 계기수명의 단축을 초래하는데 비해, 레이더식은 비접촉식이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또 기계식은 액위에 따라 계속 유동을 하기 때문에 기계적 마모 및 작동부위 손상이 있지만, 레이더식은 이러한 문제가 없다. 특히 에머슨 레이더식 탱크 게이지는 재고관리 및 상업적 판매용(Custody Transfer) 계측에 관한 더욱 강화된 인증인 OIML R85(2008년버전)를 획득함으로써, 탱크 게이징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또 기계식은 설치 시 탱크를 비워야하고 항상 Still Pipe가 필요한데 비해, 에머슨 레이더 탱크 게이징은 운전 중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기존 맨홀 및 수동 측정용 파이프 홀에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설치공사비나 유지보수비 측면을 비교했을 때, 레이더식과 기계식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기계식은 탱크 비우기 작업이나 파이프 설치작업, 플로팅 와이어 인입작업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공사비가 많이 소요되지만, 레이더식은 이러한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설치공사비가 저렴하다. 특히, 기계식은 액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과 계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 등으로 인해 초기 구입비보다 유지보수비가 커지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 수명을 보면 기계식에 비해 에머슨 레이더식 탱크 게이징은 2 배 혹은 3 배 이상의 긴수명을 자랑한다. 실제로 1974년 처음으로 유조선에 설치된 사브 레벨 게이지가 2003년까지 사용이 된 사례도 있다. 배의 수명이 보통 20년이기 때문에 그 유조선 자체는 육상으로 끌어 올려져 저장탱크 역할을 하고 있었다.

 

-에머슨 탱크 레이더 게이징 시스템의 국내 레퍼런스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
▲현재 우리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에서는 육상 탱크 게이징 비즈니스만 전개하고 있는데, 육상의 경우, 한국석유공사와 GS 칼텍스, SK에너지를 비롯한 다수의 메이저급 탱크터미널 업체에 도입이 되어 적용이 되고 있다.

 

-탱크 게이징 시스템 분야에서 에머슨의 비즈니스적인 강점은 무엇인가.
▲에머슨은 사브 시절부터 탱크 게이징 기술을 이끌어온 선도적인 업체다. 과거 서보 발란스식이 주류를 이루던 탱크 게이징 시장이 약 5년 전부터 레이더식으로 바뀌어나가고 있다. 현재 해외 프로젝트의 경우, 90%가 레이더식으로 구매요청서가  나오고 있고, 국내 프로젝트의 경우에도 약 60%가 레이더식으로 요청되고 있을 정도다.
또 레퍼런스 측면에서 봐도 탱크 게이징만을 기준으로 하면, 우리 에머슨이 1위의 위치에 있다.
특히 타 경쟁업체들과 달리, 우리 한국 에머슨의 탱크 게이징 비즈니스는 탱크 게이징만을 위해 조직된 9명의 별도 부서가 운영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고객에 대한 기술지원이나 전문성 측면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자부한다. 실제로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의 탱크 게이징 비즈니스는 본사로부터 서비스 지원 없이 모두 자체적으로 처리를 한다. 이것은 오랜 역사와 경험을 가진 업체만이 가능한 것이다.

 

-레이더 레벨 게이지의 주요 수요처는 어떻게 되나.
▲육상 수요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가장 큰 시장은 탱크 터미널 및 저유소이고, 그 다음이 정유, 석유화학 시장이다.

 

-에머슨에서는 지난 2012년 All Change된 랩터(Raptor) 모델을 출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 새롭게 출시된 탱크 게이징 시스템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난 1976년, 세계 최초로 Radar 게이지 시스템을 개발한 이래, 2000년에 한 번 시스템이 전면적으로 업그레이드가 됐고, 2010년 두 번째로 All Change된 랩터 모델이 출시됐다.
새롭게 출시된 Raptor의 첫 번째 특징은 오픈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즉, 기존 탱크 게이징 시스템의 폐쇄성을 극복한 개방형 시스템으로 개발되어, 에뮬레이션 카드를 끼우기만 하면, 별도의 장치 없이 현재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Fieldbus로 통신하는 모든 계기들을 아무런 장애 없이 Raptor시스템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개발되어 세계 최초로 SIL2, SIL3 인증과 TUV Overfill Protection 인증을 받았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경비절감이다. 에머슨의 독특한 버스전원 공급형 2와이어식 Tankbus는 자체설정형 파운데이션 필드버스 기술에 기반하여, 모든 시스템 기기에 대한 용이한 시동과 통합이 가능하다. 또 장거리 신호 배선이 필요 없는 에머슨의 Smart Wireless 기능은 적절한 지상 배선을 설치할 수 없거나, 도로를 교차해야 하거나, 지상 조건에 의해 배선 비용이 높은 경우 특히 유용하다. 또한, 무선 통신은 기존의 유선 통신과 함께 독립적인 통신 경로로서 유ㆍ무선 이중화(Redundancy)로도 사용할 수 있다. 
네 번째, 에머슨의 Raptor System은 0.5mm의 정도와 OIML R85 2008년 버전 인증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은 2-in-1 기능이다. 즉, 하나의 하우징에 두개의 독립적 계기를 장착할 수 있어서, 과 충진 방지를 위한  SIL3(Safety Integrity Level, 안전무결성기준) 안전기능을 제공한다. 최근의 모델 체인지를 통해 에머슨에서는 안전성과 환경의 문제를 보다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최근 모 경쟁업체에서도 SIL 3 제품이 출시된 것으로 아는데, 에머슨의  2-in-1 기능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
▲2-in-1 기능이란 한 개의 하우징과 한 개의 안테나, 두 개의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두 개의 전자장치가 하나의 하우징에 탑재가 되어, 하나는 Primary(1차), 또 하나는 Secondary(2차)의 역할을 담당하게 됨으로써, 이중화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 2-in-1 기능의 장점은 하이 레벨 알람과 리던던시(이중화)다.

 

-2-in-1 기능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어떠한가.
▲한국시장은 Safety에 대해 이제 관심을 갖기 시작한 단계이기 때문에,  2-in-1 기능에 대해 현 상황에서 큰 반응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중동지역 등에서는 안전 및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해 하나의 탱크에 세 개의 탱크 게이지를 탑재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또 최근, API에서 API 2350이라는 과 충진 방지(Overfill Protection) 규정이 새롭게 제정이 되는 등, 환경과 안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과 충진이 발생하게 되면 환경 피해나 폭발 위험 등 엄청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해외 프로젝트에서는 SIL2 등급에 대한 요구가 많은 상황이다.
과거에는 탱크 게이징의 주요 고려사항이  정밀도와 유지보수의 간편성이었지만, 현재는 안전과 신뢰성이 탱크 게이징 선정의 핵심 고려사항이 되고 있다.
또, 지금은 예전에 비해 인건비가 비싸기 때문에 웬만한 계기는 수리하여 사용하는 것 보다 새 제품으로 신속히 교체하는 것이 유지보수비용이나 안전성 측면에서 훨씬 유리한 실정이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최소의 인원 및 비용으로 하는 것이 안전과 원가절감에 직결되는 문제가 되었다. 실제로 국내 A사의 경우, 우리 에머슨의 200여 기의 레이더 게이지의 유지보수를 한 사람이 관리를 하고 있을 정도다. 

  

-지난 2012년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의 탱크 게이징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지난해에는 EPC 시장에서 20억 원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가 많았던, 예외적인 상황 때문에 전년대비 400%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다.
국내시장에서도 B사의 59개의 게이지가 전량 에머슨의 제품으로 도입되는 등, 전년대비 긍정적인 성과가 있었다.

 

-탱크 게이징 시스템의 수요 전망은 어떻게 하나.
▲아직까지는 기계식이 많이 적용이 되어있기 때문에, 레이더식으로의 교체수요에 대한 시장전망은 대단히 밝다고 할 수 있다. 기존 기계식 서보 타입과 Radar System의 가격 차이가 많이 줄어들었고, 높은 정확성 및 용이한 유지보수라는 장점 때문에, 현재 레이더 게이징 시스템의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국내시장의 경우에도, 액체화물과 관련된 동북아 물류 등 탱크 터미널 관련 투자가 지속적으로 진행이 되고 있기 때문에, 탱크 게이징 시스템의 시장은 상당히 긍정적이다.
해외시장의 경우에는 제품의 정도 때문에 과거에는 유량계에 투자를 많이 했지만, 지금은 재고정확성이 보다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유량계만큼은 아니지만 탱크 게이징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환경 및 안정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 맞물려 탱크 게이징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올 2013년 매출목표는.
▲지난해의 폭발적인 성장은 예외적인 상황에 해당하고,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의 탱크 게이징 비즈니스는 연평균 15~20%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올해 역시 이 정도 수준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올 2013년,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탱크 게이징 시장 확대전략은 어떻게 전개해 나가고 있나.
▲우선 고객에 대한 기술지원 및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것이다.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 해도 고객에 대한 기술지원이 신속하게 수행되지 않으면, 그 제품은 완벽한 제품이라 할 수 없다. 자체적으로 고객 불만을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두 번째로 적극적인 교육지원 및 세미나 개최, 전시회 등을 통해 고객과 재고관리뿐만 아니라 환경과 안전 문제에 대한 중요성을 공유하는 자리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우리 한국 에머슨에서는 매년 울산, 여수, 대산 등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고객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으며, 에머슨 기술 교환(Tech. Exchange)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주요 엔지니어링사와 기술교류를 4년 째 지속해 오고 있다. 이러한 활동들이 제품생산자 혹은 단순한 Vendor가 아니라 고객의 성공을 함께 하는 비즈니스 파트너로서의 에머슨의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탱크 게이징 시스템 분야의 기술 트렌드라면.
▲앞서 얘기한대로 과거에는 계기의 정확성이 중요한 과제였지만, 최근 들어서는 안전과 환경, 이중화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탱크는 주로 인화성 물질을 저장하는 관계로 과 충진에 의한 넘침ㆍ폭발의 위험성이 항시 존재하고, 폭발이 되지 않더라도 넘침ㆍ누유 발생 시 환경적 재앙에 따른 비용이 수백억 원이 넘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3월SR-에제Wireless Raptor.jpg

Raptor Wireless

 

-향후 기술 업그레이드 계획은.
▲2010년의 모델 All Change를 통해 중요한 기술적인 업그레이드가 대부분 진행이 됐기 때문에, 앞으로는 통신 쪽의 에뮬레이션(타사 제품과의 호환성) 강화와, 소프트웨어의 커스터마이징 부분 개선 등이 주요 업그레이드 내용이 될 것이다. 특히 우리 에머슨에서는 스웨던 공장에 소프트웨어 전산 인력이 별도로 조직되어 운영이 되고 있어서, 고객 요구에 부응하는 소프트웨어 변경이 용이하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