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머슨, 석탄 화력 발전 용량 증가 동향
이예지 2014-02-21 10:07:42

미래 석탄 화력 발전 용량 증가 동향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최근에는 대체에너지나 신재생 에너지가 뜨거운 감자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여전히 석탄을 이용한 발전이 에너지 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여러 환경 문제를 야기시킨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핫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다른 에너지원들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이점을 기반으로, 개발도상국에서는 앞으로도 화력 발전에 힘을 실을 예정이라고 한다. 각국에서 어떤 이유로 석탄 화력 발전의 비중을 증가시키려고 하는지, 확인해 보자.


향후 10년 간 국제 석탄 수요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나라는 중국과 인도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세계 최대의 개발도상국이라 할 수 있는 두 국가가 지니는 소비 둔화 잠재력으로 인해, 중국과 인도의 뒤를 잇는 개발도상국들의 국제 석탄 수요 점유율이 증가하여 새로운 수입/수출 경로가 생겨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401Trend3-이1.jpg


이하는, 중국과 인도 이외의 주요 개발도상국들의 향후 10년 동안 석탄 화력 발전 용량 증가 계획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 내용이다.


인도네시아 : 국영 전력 공사 PLN에 따르면, 전 세계 석탄의 최대 수출국인 인도네시아는 향후 7년간 40GW의 석탄 화력 발전 용량 증가를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Indonesian Coal Mining Association(인도네시아 석탄 광산 협회)은, 아시아 제 5위 경제 규모인 이 국가의 석탄 수출이 2025년까지 6억 5천 5백만 톤까지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며, 국내 연소 용량은 3억톤까지 3배로 상승할 것이라 추정했다.


베트남 : 북쪽으로 인접해 있는 최대 공산주의 집권국처럼, 베트남은 급속한 경제 성장을 위해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을 활용하길 원하고 있다. 국가의 석탄 수요가 2020년까지 6천 7백만 톤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국내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이 36GW인 베트남은 2015년부터는 석탄 수입국에 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말레이시아 : 향후 10년간 4천만 톤까지 2배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국내 석탄 수요를 반영하여, 말레이시아는 2023년까지 5GW의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을 구축할 계획이다.
파키스탄 : 올해 초 6GW급의 새로운 석탄 화력 용량 구축을 위해 중국과 계약을 체결한 파키스탄은, 오일 화력 전기 중 3GW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석탄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태국 : 향후 추가될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을 정확하게 지정하지는 않았으나, 태국 정부는 국가의 에너지 전반에서 석탄 비율을 증가시키고, 수입 가스에 대한 의존도를 감소시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필리핀 : 필리핀 정부는 향후 4년 동안 2.5GW의 석탄 화력 발전 용량 추가를 계획하고 있지만, 산업 단체들은 공급 상의 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2017년까지 4GW의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예상한다.


나이지리아 : 아프리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이 국가는 더 많은 가스 자원을 수출로 전환할 수 있도록, 4GW의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의 구축을 원하고 있다.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혹은 미주 지역에서 석탄을 수입하는 비용을 회피하기 위해 잠재되어 있는 국내 석탄을 개발할 계획에 있다.


북아프리카 : 이집트는 시멘트와 같은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 석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략 5GW의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의 구축을 원하고 있다.


터키 : 이 국가는 수입 가스에 대한 의존도 감소를 위한 노력 중이기 때문에, 앞으로 1년 후까지 기존 설비 용량 중 10GW을 수입 석탄과 자국의 갈탄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칠레 : 2010년 본 국가의 국영 발전 업체는, 구리 산업에 대한 공급 등의 목적으로 2020년까지 최대 4GW의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을 증가시킬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최근 신규 프로젝트 중 일부가 법정 판결에 따라 최근 저지된 바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 World Resources Institute(세계 자원 연구소)는 아프리카 대륙 내 최대 경제 규모인 이 국가가 향후 10년 동안 20GW의 새로운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추정했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