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가스 개발 확산 시 가스관련 플랜트 수주액 2020년 450억 달러 상회 전망
산업연구원 박광순
세계자원 수요증가율면에서 가스부문이 견인차 역할 예상
셰일가스 개발 및 확산에 따른 일부 부정적 요소도 있지만 셰일가스 잠재력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중장기 에너지 수요전망 에서 오는 2035년까지 세계 자원수요 가운데 석탄 및 석유 증가율이 각각 0.7%, 0.5%로 가스자원 증가율(1.6%)에 훨씬 못 미칠 것으로 전망하였다.
따라서 셰일가스를 포함한 가스 수요의 확산과 이를 충족하기 위한 시추, 개발, 생산 목적의 해외플랜트시장 확대는 물론 우리나라 관련 해외수주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셰일가스 관련 플랜트, 가스처리·화학설비·발전소 부문에 큰 영향
관련 선행연구에서도 언급하였는데, 셰일가스 개발 및 확산 시 해외수주에 영향이 예상되는 분야는 가스처리, 화학설비 및 발전소 등이며, 이들 3개 분야의 연대별 누계 수주액을 기준으로 동 부문 합계가 플랜트 전체의 58.5%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3개 플랜트 공종의 연대별 수주 추이
(단위 : 천 달러)
구분 | 1960~70년 대 |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가스처리 | 837,003 | 865,118 | 2,887,500 | 16,983,703 | 9,351,539 |
화학설비 | 33,104 | 410,352 | 2,689,234 | 21,949,952 | 15,901,918 |
발전소 | 368,619 | 1,563,133 | 7,268,076 | 26,250,631 | 68,049,228 |
3개공종합계 | 1,238,726 | 2,838,603 | 12,844,810 | 65,184,286 | 93,302,685 |
플랜트 합계 | 3,109,609 | 7,867,484 | 25,258,718 | 123,610,755 | 140,103,359 |
자료 :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건설통계 DB에서 발췌
플랜트부문에서 3개 공종이 차지하는 비중을 연대별로 살펴보면, 60~80년대에는 30%대로서 전체 수주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90 년대 들어와 동 비중이 50%를 상회하기 시작하였으며, 2010년대에는 65%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셰일가스 개발동향에도 민감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셰일가스 개발·확산이 우리나라 플랜트산업에 미치는 영향 클 듯
‘97년 이후 우리나라 해외건설 및 플랜트 중 가스와 관련이 있는 3개 공종의 수주금액과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스 처리 공종은 상관관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나, 화학설비, 발전소 공종은 상관계수가 0.8에 육박하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스관련 3대 기종 전체의 세계가스 생산량과의 상관계수는 0.860 가스 소비량과의 상관계수는 0.868로 상관관계가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 가스 생산 및 소비량과 우리나라 해외건설·플랜트 수주의 연관성
(단위:백만toe, 백만 달러)
1997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생산 상관계수 | 소비 상관계수 | |
가스생산량 | 2,005 | 2,510 | 2,600 | 2,657 | 2,757 | 2,679 | 2,879 | 2,968 | 3,304 | - | - |
가스소비량 | 2,015 | 2,499 | 2,562 | 2,647 | 2,718 | 2,656 | 2,864 | 2,914 | 2,987 | - | - |
발전소 | 1,193 | 1,427 | 832 | 8,469 | 8,398 | 4,414 | 32,874 | 17,801 | 17,374 | 0,754 | 0,763 |
화학설비 | 469 | 2,813 | 3,526 | 5,807 | 5,190 | 2,744 | 2,660 | 5,682 | 7,560 | 0,878 | 0,876 |
가스처리 | 74 | 508 | 2,386 | 803 | 1,526 | 6,999 | 3,834 | 4,745 | 773 | 0,511 | 0,512 |
가스관련 3대 공종 수주액 | 1,737 | 4,748 | 6,743 | 15,079 | 15,114 | 14,156 | 39,369 | 28,228 | 25,706 | 0,860 | 0,868 |
자료 : BP(2013),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건설통계, 플랜트 통계를 바탕으로 산업연구원(KIET) 작성.
가스의 수요 증가는 가스산업 가치사슬(Value Chain)과 관련된 산업의 수요 증가로 이어져 가스개발 ⇒ 관련 플랜트 건설ㆍ운영 ⇒ 수송ㆍ도입을 연계 하는 산업의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비교적 경쟁력을 갖춘 우리에게는 해외수주 증가라는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
우리나라 3대 주요 플랜트 수주액, 2020년에 450억 달러를 상회할 듯
IEA의 중장기 세계가스 소비전망치 및 우리나라 플랜트 기술능력을 바탕으로 가스 관련 3대 공종의 향후 우리나라 해외플랜트 수주액을 추정하면, 2012 년 250억 달러 수준에서 2020년에 450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가스 관련 3대 공종의 해외수주 전망
(단위 : 억 달러, %)
2007 | 2012 | 2015(e) | 2020(e) | 연평균증가율 | 비고 | |
가스 관련 3대 공종 플랜트 수주액 | 150.8 | 257.1 | 298 | 380 | 5.5 | 시나리오Ⅰ |
319 | 458 | 7.5 | 시나리오Ⅱ | |||
328 | 494 | 8.5 | 시나리오Ⅲ |
자료 : 산업연구원(KIET) 작성.
주 : 1) (e) 전망치, * Compound average annual growth rate.
주 : 2) 시나리오Ⅰ은 보수적, 시나리오Ⅱ는 일반적, 시나리오Ⅲ은 낙관적 전망치임.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수주 노력과 가스관련 세계플랜트 발주량이 보다 활기를 띨 경우에는 3대 공종기준 수주액이 500억 달러 (2020년 기준) 수준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셰일가스 관련 플랜트 원천기술 및 신기술 개발에 적극 대응 필요
LNG 거래가격이 적정수준을 유지하면서 비 전통(셰일)가스 개발단가가 낮아질 경우 셰일가스 개발의 활성화 및 보급 확산 가속화가 이루어지고, 가스 수요 확대는 다시 셰일가스 개발로 이어져 가스처리 시설 발주에 이어 원료와 연료를 사용하는 화학 플랜트 및 가스복합화력 발전소 발주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선순환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해외건설 및 플랜트 수주에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화학공종은 가스에서 추출된 에탄 베이스의 시설확충 및 이에 상응하는 기술개발 노력 강화가 중요하고, 가스처리나 발전소 공종도 응용기술뿐만 아니라 원천기술 확보와 시공능력 배양이 강조될 전망이다.
아울러 환경문제를 고려할 때, 셰일가스 추출시 이용되는 수압파쇄법에서 최대한 물을 적게 사용하는 신기술 개발 노력 등은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