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News
해외건설 3분기 483억 불 수주, 전년보다 5.2% 증가
중동·아시아를 제외한 유럽·중남미·아프리카 등 신 시장 진출실적이 50억불에 육박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금년도 3분기 해외건설 수주액 누계가 483억불로 집계되었으며, 올해 목표 700억 불 수주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3분기 수주실적 483억 불은 전년도 동기(459억 불) 대비하여 5.2%, 최근 5년간 동기(405억 불) 대비하여도 19.3% 증가한 수치이며, 역대 3분기 수주실적 기준으로도 역대 두 번째 최고치 기록이다.
특히 금년 3/4분기만을 놓고 볼 때, 수주실적 총액 107억 불 중 중동·아시아를 제외한 유럽·중남미·아프리카 등 신 시장 진출실적이 50억 불에 육박하여 46%를 점유하는 성과(전년동기: 7억 불 수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그간 해외건설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신 시장 개척의지를 갖고 진출시장 다변화를 추진해 온 우리 업계의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3분기 신시장 주요 수주 공사
- 캐나다, 포트힐즈 세컨더리 익스트랙션 프로젝트 25.2억 불(SK건설)
- 나이지리아, 에보니 가스화력발전소 11.4억 불(포스코건설)
- 영국, SABIC Ethane 저장설비 프로젝트, 2.1억 불(삼성물산)
- 적도기니, 몽고멘 국제공항청사 1.9억 불(쌍용건설)
- 보츠와나, 카중굴라 교량 건설공사 1.6억 불(대우건설)
(지역별) 우리 해외건설은 3/4분기까지 중동지역에서 전체 수주액의 50%이상(262억 불)을 기록하며 중동지역에서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는 한편, 칠레·베네수엘라 등 중남미,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 지역에서 수주기반을 넓혀가며 시장다변화를 모색하였다.
* 중동 54%(262.2억 불), 아시아 22%(104.8억 불), 중남미 12%(55.7억 불) 순
전통적인 수주텃밭인 중동지역에서는 상반기 내내 쿠웨이트 클린 퓨얼 정유공장(71.5억 불),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60.4억 불) 등 외국기업 등과의 컨소시엄 등을 통해 대규모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하며 지난해 동기(181억 불) 대비하여 45% 증가했다.
다만 아시아 지역은 베트남 빈탄4 석탄화력발전소(15억 불) 등을 수주했으나, 전년과 비교할 때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감소하여 지난해 동기(197억 불) 대비 53% 수준에 머물렀다.
중남미와 아프리카 지역은 우리기업이 경쟁력을 갖춘 플랜트·토목 공종을 기반으로 신시장 개척 노력을 강화한 결과, 베네수엘라 뿌에르또 라크루즈 정유공장(43.4억 불), 나이지리아 에보니 가스화력발전소(11.4억 불) 등에서 실적을 올리면서 향후 시장 잠재력이 풍부한 중남미와 아프리카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공종별)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정유공장 및 발전소 공사 등 대형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가 이어지면서, 금년도는 플랜트 건설수주 누계가 389억 불로 전체의 81%를 차지하였다.
* 플랜트 80.6%(389.0억 불), 토목 7.9%(38.1억 불), 건축 7.2%(34.7억 불) 순
주력공종인 플랜트 수주확대로 토목(38.1억 불)과 건축부문(34.7억 불)은 다소 부진하였으나, 엔지니어링 등 용역공종(12.3억불)에서는 전년동기대비 60% 증가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4/4분기 전망) 국토교통부는 3/4분기까지 480억 불 이상의 수주 호조를 기록한 만큼, 금년 말까지 금년 목표 수주액인 700억 불 수준의 해외건설 수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기업이 수주활동중인 해외건설 프로젝트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계약 예정 공사가 150억 불 수준이며, 약 1,000억 불 규모의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 또는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라크 내전상황이 장기화되고 미국의 시리아내 IS 근거지 공습이 본격화됨에 따라 중동지역 불안요소가 확산되어 우리 기업이 참여하는 프로젝트 입찰에 영향을 미칠 우려 등을 감안할 때, 금년 수주액이 700억 불을 하회할 가능성은 잠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