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센크루프, 세계 최초로 로프없는(rope-free) 엘리베이터 개발 성공. 글로벌 도시화에 대해 건설산업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발명된 지 160년만에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시대는 이제 끝났다. 티센크루프는 엘리베이터에 리니어 모터를 도입하여 수직운송 시스템인 엘리베이터에 일대 변혁을 일으켰다. MULTI 엘리베이터 기술은 운송능력과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공간을 절감하고 빌딩 전력 공급의 피크 부하를 줄여준다. 여러 대의 카가 같은 승강로 내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임에 따라, 높이와 형태 및 용도에 있어서 다양한 건물들을 구현시켜 준다. 첫 MULTI 엘리베이터는 2016년에 테스트 완료될 예정이다.
최근 공개된 MULTI는, 티센크루프가 제공하는 광범위한 엘리베이터 제품군들 중 가장 최신의 솔루션으로서, 엘리베이터 산업에서 기념비적인 혁신이자 중층 및 고층 빌딩을 위한 새롭고 효율적인 운송 솔루션이다. 이제, 자기부상열차의 리니어 모터 기술을 엘리베이터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승강로 내에서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 카를 운행시킨다는, 오랜 꿈이 실현 가능해졌다. MULTI는 건물 내에서 사람들이 이동하는 방식에 변혁을 일으킬 것이다. 똑같이 리니어 모터 기술을 사용하는 티센크루프의 ACCEL이 도심이나 공항에서 짧은 거리 이동에 변혁을 가져오는 것과 마찬가지다.
메트로 시스템과 유사하게 MULTI는, 승강로 내에서 순환형으로 움직이는 다양한 자체 추진력 방식의 엘리베이터 카들로 구성된다. 이는 운송능력을 50%까지 증가시키고, 빌딩내 엘리베이터 공간을 50%나 절감해준다.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다단계 브레이크 시스템과 승강로에서 카로 전달하는 유도 전력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MULTI는 기존 엘리베이터에 비해 승강로의 크기가 작아 빌딩의 가용면적을 25%까지 증가시킨다. 이를 고려하면 건물 크기에 따라 현행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공간은 빌딩 바닥면적의 40%까지 차지할 수 있다. 전반적인 효율증가 또한 에스컬레이터나 추가적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필요성을 줄임으로써, 건축비용의 획기적인 감소와 동시에 가용면적 증가에 따른 대폭적인 임대수입 증가로 이어진다.
가용면적의 대폭 증가는 MULTI의 여러 장점 중 하나에 불과하다. MULTI 설치를 위한 이상적인 건물높이가 300미터부터 시작되긴 하지만, 이 시스템은 건물높이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건물설계는 더 이상 건물높이나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직배열로 인한 제약을 받지 않게 될 것이며, 건축사나 개발사업자들이 상상도 하지 못했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
MULTI는 티센크루프 TWIN엘리베이터의 제어시스템과 안전장치들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엘리베이터 카와 도어에 최신 경량 자재 적용 등 새로운 특징들을 추가로 도입하여 기존 엘리베이터 대비 무게를 50% 줄였으며,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에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는 새로운 리니어 구동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도시화는 멈출 수 없는 흐름이며, 도시로 유입되는 사람들의 규모는 도시인구 증가 속도에 맞추어 건설 및 인프라를 재정의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2012년 맥킨지 글로벌 조사기관의 보고서에 의하면, 2025년까지 도시 및 상업시설 연면적의 85%가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데, 이 요구를 충족시키려면 신규건설에 있어 거의 58조 유로가 필요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시지역의 공간제약 문제는 중층 및 고층빌딩 건설이 가장 실행가능한 선택임을 보여주며 이는 곧 엄청난 엘리베이터 수요창출을 의미한다.
2016년까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품 및 유지보수의 전세계 수요는 해마다 5%씩 증가하여 약 520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회사의 혁신 역사에 또 다른 한 획을 긋는 이 시스템에 대해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AG의 CEO Andreas Schierenbeck 씨는 독일 에센에 위치한 글로벌 본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빌딩 건설의 성격이 진화함에 따라, 건물의 요구사항들을 더 잘 충족시키고 많은 수의 승객들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바꾸어야 합니다. 1차원 수직배열에서 이제는 각각의 승강로 내에 두 대 이상의 카들이 운행하는 2차원 수평/수직 배열로 바꾸어야 합니다. MULTI는 이동수단에 대한 고객 니즈를 탁월하게 충족시키는 최첨단 운송 기술을 제공해온 티센크루프의 역사에 있어서 또 하나의 자랑스러운 솔루션입니다.”
순환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MULTI는 5 m/s의 목표 속도로 순환 운행하는 다양한 엘리베이터 카들로 구성되어, 승객들이 매 50미터 마다 환승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매 15~30초 마다 탈 수 있게 해준다.
Schierenbeck 씨는 “해마다 전체 뉴욕 직장인들의 누적 엘리베이터 대기 시간이 총 16.6년이며, 그들이 엘리베이터 안에서 보내는 시간은 5.9년입니다. 이 자료는 엘리베이터의 가용성을 높이는 것이 얼마나 필요한 일인지를 보여줍니다.”라고 말했다.
2차원 엘리베이터 교통시스템에 대한 2013년 분석은, 승강로당 엘리베이터 카 1대가 운행하는 현 시스템을, 두 도시 사이의 철로 전체에 오직 1대만의 열차가 운행하는 것에 비유하고 있다. 명백한 자원 낭비인 것이다. 획기적인 기술력을 단순 운행 컨셉 및 승객 이용편의성과 결합시킴으로써, 티센크루프의 MULTI는 승강로당 카의 수를 신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먼 미래의 일이 아닌 눈앞의 현실로 바꾸어 놓게 되었다.
“이 획기적인 제품을 시장에 내놓기 위해, 우리는 독일 로뜨바일(Rottweil)에 있는 새 테스트타워에서 완벽한 테스트와 인증을 진행할 것입니다. 이 테스트타워는 2016년말경 완공될 것이며, 이 때쯤이면 우리는 MULTI의 시제품이 운행하는 것을 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라고 Schierenbeck 씨는 덧붙였다.
도시화와 글로벌 엘리베이터 시장
도시화는 멈출 수 없는 흐름이며, 도시로 유입되는 사람들의 규모는 도시인구 증가 속도에 맞추어 건설 및 인프라를 재정의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2012년 맥킨지 글로벌 조사기관의 보고서에 의하면, 2025년까지 도시 및 상업시설 연면적의 85%가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데, 이 요구를 충족시키려면 신규건설에 있어 거의 58조 유로가 필요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시지역의 공간제약 문제는 중층 및 고층빌딩 건설이 가장 실행가능한 선택임을 보여주며 이는 곧 엄청난 엘리베이터 수요창출을 의미한다. 2016년까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품 및 유지보수의 전세계 수요는 해마다 5%씩 증가하여 약 520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티센크루프 thyssenkrupp-elevato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