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Report /2015년 Motion Control 산업전망
변화하는 제조 패러다임,
모션 컨트롤 업계에도 예외는 없다!
지난해, 주요 수요처의 투자위축으로 성장에 브레이크가 걸린 모션 컨트롤(Motion Control) 업체들이 새로운 2015년을 맞이했다.
현재 제조 기업들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나 Industry 4.0 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제조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모션 컨트롤(Motion Control) 업계 역시 기존 제품 포트폴리오에 IT 기술을 접목시켜 나가느라 분주하기만 하다.
현재 모션 컨트롤 업계는 기존의 아날로그/펄스열 지령방식에서 다축 동기제어가 가능한 통신방식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튜닝 최소화 등을 통한 편이성 향상, IT 융합에 필요한 클라우드 시스템과의 통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 및 Safety 기능의 강화를 주요 트렌드로, 기술적인 진화를 거듭해 나가고 있다.
특히, 일부 모션 전문 업체들이 자사의 모션기술에 FPGA 기술을 탑재시키면서, 그동안 장비의 액추에이터로만 구동하던 서보 드라이브가 고속 정밀 위치제어를 위해 멀티 코어 기술을 활용한 로컬모션 제어기로 발전되어 나갈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할 기술 트렌드 가운데 하나.
올 한해, 반도체 및 자동차, 물류 시스템 등의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공급업체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컨트롤 업계의 자존심을 대표하는 국산 모션 컨트롤 업체가 어느 정도의 성장을 이룰 수 있을 지, 가격적인 우위로 시장을 빠르게 점유해 나가고 있는 일부 일산 업체의 행보가 어디까지 이어질 지, 그리고 메이저급 글로벌 자동화 업체들의 시장 확대가 국내 모션 컨트롤 업계의 시장 판도를 어떻게 바꿀 지에 관련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주요 모션 컨트롤 업체들의 최근 행보를 취재했다.
<기획ㆍ취재/최교식 기자 cks@engnews.co.kr>
“앞으로는 개방성과 통합이 모션 컨트롤 업계의 큰 트렌드가 될 것”
MLC는 하나의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다양한 로봇 제어뿐만 아니라, CNC와 같은 전용 컨트롤 기능까지 가능해, 다양한 산업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어
보쉬렉스로스코리아 이준영 팀장
드라이브 통합형 모터인 Indradravie Mi.
-지난 2014년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의 모션 컨트롤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지난 2014년은 주요 수요처의 투자위축으로 인해, 우리 보쉬렉스로스코리아 역시 쉽지 않은 한해를 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의 모션 컨트롤 비즈니스는 전년에 비해 소폭의 성장을 달성했으며, 지난해의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
지난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성장할 수 있었던 동기는, 상반기에 파트너를 통해 중국의 FPD 시장에서 수요를 확보하는 성과가 있었고, 국내에서도 제약 및 섬유, 영화관 등 일반산업기계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투자를 확보하는데 성공하면서, 이들 분야에 보쉬렉스로스의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하는 성과가 있었다.
특히, 우리가 타깃으로 했던 국내 OLED를 포함한 FPD 분야의 투자가 침체되면서 국내 시스템 수요보다는 컴포넌트 비즈니스에서 성과가 있었던 것이 지난해 비즈니스의 특색으로, 보쉬렉스로스에서 3~4년 전에 리니어모터가 범용으로 쓸 수 있도록 개발이 되어 출시가 됨으로써, 지난해 중국시장에서 수요가 확대되는 성과가 있었다.
이 리니어 모터는 아시아 시장에 맞춰 가격경쟁력이 있는 제품으로 출시가 된 것이 특징으로, 현재 중국을 비롯한 한국 등 아시아지역에서의 수요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보쉬렉스로스에서는 과거 코어타입의 리니어 모터만 생산 공급해왔는데, 최대 3400N 용량까지의 코어리스 타입의 리니어모터를 선보이면서, 제품 포트폴리오와 시장 확대를 동시에 실현해 나가고 있다.
특히, 일본 제품 중심의 Ladder 사용에서 Open PLC로의 사용이 점차 확대 되면서, 보쉬렉스로스의 MLC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 있다.
-IndraMotion MLC(Motion Logic Controller)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고 했는데, IndraMotion MLC는 일산이나 국산 모션 컨트롤러와는 달리, 모션과 로직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산업계에서 IndraMotion MLC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
▲인드라모션 MLC는 로직 컨트롤과 모션 컨트롤, 로봇 컨트롤을 모두 하나로 통합한 강력한 성능의 컨트롤러다. 강력한 오픈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하는 통합된 인드라모션 MLC는 통합된 인드라모션 MLC 런타임 시스템 안에서 모션 컨트롤과 로직 컨트롤을 위한 펑션들은 openPLC 표준 IEC 61131-3을 따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현재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쉬운 통합성과 사용성, 개방된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요구하는 것이 트렌드다. 향후 모션과 로직, 로봇 등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통합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인드라모션 MLC는 이러한 미래의 기술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러한 이점에 대한 고객들의 인식이 점차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모션과 로직, 로봇 컨트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이 되면 유저는 실제로 어떤 이점을 얻을 수 있나.
▲우선 모션과 로직, 로봇 컨트롤 등을 위한 플랫폼이 동일하기 때문에 접근이 용이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유저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함께 자동화를 위한 향상된 생산성과 비용절감의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통합되고 유지관리가 필요 없는 구성품들로 인한 투자의 확실성 역시 인드라모션 MLC가 제공하는 이점으로, 특히 표준화된 PLCopen 모듈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모션 컨트롤과 테크놀로지 펑션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복잡한 장비의 동작실행을 쉽게 만들고, 모듈식 장비와 컨트롤 콘셉트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개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IndraMotion MLC. 로직 컨트롤과 모션 컨트롤, 로봇 컨트롤을 모두 하나로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인드라모션 MLC의 판매동향은 어떠한가.
▲Open PLC에 대한 소개가 다양한 루트를 통해서 확산되고 있어서, Open PLC를 사용하고 있는 MLC의 판매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되고 있다.
특히 앞서 얘기했듯이, MLC는 하나의 하드웨어 플랫폼을 가지고 직교 로봇부터 델타로봇까지 다양한 로봇 제어뿐만 아니라, CNC와 같은 전용 컨트롤 기능까지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에서 MLC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MLC는 보쉬렉스로스가 리드하고 있는 유압 산업에서 유압 시스템과 모션을 직접 제어할 수 있어서, 앞으로 보다 넓은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inear & Rotary Servo Motor, Drive, Controller 등 각 제품군에서 최근 기술적으로 업그레이드된 사항으로는 어떤 것이 있나.
▲서보모터 및 드라이브 비즈니스는 지난해 전년과 비슷한 성과를 보였는데, 최근 우리 보쉬렉스로스에서는 방폭모터와 리니어 모터를 특화해서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보쉬렉스로스의 드라이브 통합형 모터인 Indradravie Mi 제품과 방폭 모터인 Indradyn S MKE 제품이 국내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데, Indradrvie Mi 제품의 경우 별도의 Control Box 없이 케이블을 간소화해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고 있고, MKE 방폭 모터는 세월호 사건 이후 산업 전반적으로 안전에 대한 이슈가 제기되고 있어서, 폭발 위험이 있는 곳에서 일반 모터를 사용하고 있는 모터를 방폭형 모터로 변경하는 요구가 커지고 있는 추세와 맞물려 점차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보쉬렉스로스는 타사 대비, 방폭형 모터의 제품군이 다양해서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다. 이와 함께 보쉬렉스로스에서는 Mi 제품을 최근 요구되는 다양한 Interface인 SercosIII나 ProfiNet, EtherNet/IP, EtherCAT 등으로 운영 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했다. 방폭형 모터의 경우도 MKE 방폭 전용 모터뿐만 아니라, MSK 범용 모터에도 방폭 옵션을 선택해서 방폭형 모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1kw 이하의 소형부터 30kw가 넘는 대형까지 대응을 하고 있다.
또 드라이브 및 컨트롤러의 경우는Open Core Engineering 콘셉트로 계속해서 업그레이드 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하드웨어의 통합뿐 아니라,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으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한편,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묶어 줌으로써, 유저가 사용하는데 있어서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고 개방성을 제공해 나가고 있다. 예를 들면, Visual Basic, VC++,VC# 등을 사용하던 Vision 쪽 장비 업체는 쉽게 PLC를 통합할 수 있다.
-지금 얘기한 드라이브 통합형 모터인 Indradravie Mi와 방폭 모터인 Indradyn S MKE의 수요처는 어디인가.
▲Indradyn S MKE는 그동안 방폭 모터를 사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반 모터를 사용해오던 수요처들이다. 예를 들면, 도장이라고 하면 흔히 자동차 분야의 도장만 생각하지만, 핸드폰 생산공정에서도 도장 수요가 크다. 안전에 대한 이슈가 부상하면서, 지난해 두각을 나타냈던 보쉬렉스로스의 방폭형 모터가 앞으로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것으로 예상이 된다.
또 Indradravie Mi는 컨트롤 패널 없이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으로, 프린팅 분야를 위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보쉬렉스로스코리아는 최근 몇 년간 OLED 진공공정 위주로 LMS(Linear Motion System)에 대한 마케팅을 진행해왔는데, LMS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이점은 무엇이며, 판매추이는 어떠한가.
▲LMS는 초창기에는 OLED 진공 공정과 같은 특화된 곳에서만 수요가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일반 물류에서 공정 속도를 올리기 위해 로봇 등과 함께 운영되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그동안 일반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산업분야에서 LMS를 사용하기에는 가격적 부담이 있었는데, 보쉬렉스로스에서도 이를 위해 다양한 제품군으로 확장해서 최대한 가격을 낮춰가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컨베이어를 대체하는 공정에서 전체 시스템을 LMS로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한 부분에만 LMS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컨베이어와 LMS의 복합 물류를 현실화했다. 물류 및 프로세스 Cycle Time을 혁신적으로 개선해서 고객사에서 호평을 받고 있고, 이는 향후 LMS가 더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모션 네트워크의 비즈니스 상황은 어떠했나.
▲보쉬렉스로스의 SERCOS에 대한 사업 확장 의지는 확고하다. 그러나 보쉬렉스로스 역시, 고객의 요구에 대응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수용해 나가고 있다.
그동안 SERCOS 베이스의 이더켓만 지원을 해오다 지난해부터 CoE(CANopen over EtherCAT) 방식 역시 지원하고 있고, 현재 SERCOS와 EhterNet/IP, EtherCAT, Profinet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유저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Open Core Engineering을 소개한 이후, IT 기술과의 융합에는 어떤 진전이 있었나.
▲Industry 4.0과 관련해서, 보쉬렉스로스의 Open Core Engineering이 독일의 혁신적인 헤르메스상을 수상했다. Open Core Engineering은 PLC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국제 규격인 IEC61131-3의 Open PLC 프로그램 방식뿐만 아니라, VB, VC++, VC#, LabVIEW, MATLAB 등 개발환경의 다변화를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의 융합이 가능해서 IoT에 대한 접근성을 확장했다.
현재 개발자뿐만 아니라, 장비를 메인터넌스하기 위한 고객에 대한 접근성까지 높이고, 산업간 융합을 유도하기 위한 혁신을 제안하고 있다. 새로운 콘셉트라서 아직까지는 유럽을 발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층을 만들어 나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적용 시점을 조율 중에 있다.
- 2015년 모션 컨트롤 시장을 어떻게 전망하나.
▲지난 2014년의 어려운 시기를 지나면서, 우리 보쉬렉스로스코리아에게는 또 다른 희망이 생겼다. 어렵다어렵다 해도 일이 너무 많아서 행복한 비명을 지르는 수요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다양한 정보가 매출과 직결된다고 본다.
전반적으로 올 2015년 모션 컨트롤 시장은 낙관적이지는 않지만, 올해까지 중국의 FPD 분야의 투자가 예상이 되고, 국내 LCD 분야의 개조물량 수요가 예상이 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기대를 하고 있다. 그러나 모션 컨트롤 업계의 최대변수는 스마트폰 업계의 투자규모로, 이 스마트폰 업계의 투자가 어떻게 진행이 되느냐에 따라서 모션 컨트롤 업계의 성장세가 결정이 될 전망이다.
인더스트리 4.0을 구현하는 Open Core Engineering. Open PLC 프로그램 방식뿐만 아니라, VB, VC++, VC#, LabVIEW, MATLAB 등 개발환경의 다변화를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의 융합이 가능하다.
-보쉬렉스로스코리아는 올 2015년 모션 컨트롤 시장을 어떠한 전략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인가.
▲그동안 우리 보쉬렉스로스코리아는 LMS 등 시스템 중심의 시장전략을 전개해왔는데, 올해부터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반응이 좋은 단품에 대한 판매에도 무게중심을 둔 전략을 병행할 방침이다.
앞으로 다양한 산업에서의 제품 소개가 가능하도록 보쉬렉스로스의 강점인 다양한 제품군을 앞세워, 컴포넌트 중심의 영업 전략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본사에서도 아시아시장을 타깃으로 전략적으로 제품을 출시하고 경쟁력 있는 가격정책을 가져가고 있기 때문에, 올 한해 모션 컨트롤 시장에서 우리 보쉬렉스로스의 비즈니스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업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는 것과 맞물려, 필요한 제품 또한 계속 변화되고 있다. 적재적소에 맞춤형 제품을 공급하는데 있어서는 타이밍이 중요하다.
정규적인 전시회, 세미나, 교육 등을 통해서 보쉬렉스로스의 제품을 소개하고,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홍보 전략을 전개해나갈 예정이다. 이의 일환으로, 2월 초에 개최되는 『SEMICON 2015』에도 혁신적인 장비와 기술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신제품 및 기술 업그레이드 계획에 대한 설명을 부탁한다.
▲보쉬렉스로스는 끊임없이 신제품을 출시하는 회사다. 현재 가지고 있는 제품군도 다양하지만,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가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빠른 대응을 해 나가고자 철저한 시장 조사를 하고 있다.
앞으로 새로운 플랫폼의 모션 컨트롤러가 소개될 예정이며, PLC 및 드라이브, 모터, 인버터 등에 대한 신제품 출시 계획도 있다.
- 2015년 모션 컨트롤 업계의 이슈로는 어떤 것을 예상하나.
▲인터페이스의 결정이 중요한 이슈가 될 것 같다. 보쉬렉스로스 역시, 이에 발맞추어 다양한 개발자 환경과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제품화해나가고 있다.
-향후의 모션 컨트롤 기술 트렌드를 어떻게 예상하나.
▲앞으로는 누가 더 많은 개방성을 가지고 통합을 제공할 수 있느냐 하는 ‘개방성과 통합’이 큰 트렌드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필드버스 통신이 이더넷으로 교체되듯이, 2G 핸드폰이 스마트폰으로 교체 되듯이, 교체되는 트렌드를 보면 보다 개방성 있는 통신 방식과 제품, 그리고 통합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모션 컨트롤 기술 또한 이러한 통신 방식을 가지고 제품을 제작하는 트렌드가 형성 될 것으로 본다.
-올 모션 컨트롤 매출 목표는.
▲전년대비 20%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